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402

2023년 겨울 텃밭 석회고토 뿌려 주기 남부지방의 경우 12월에도 월동 작물을 심기도 하지만 전국적으로 대부분 텃밭에서는 김장 작물을 수확하고 휴면기를 가지게 됩니다. 이때 어떤 텃밭에서는 퇴비와 비료를 미리 뿌려 주어 바쁜 봄 농사에 대비를 하는 경우가 있으며 생각하고 계시는 분들이 있으실 겁니다. 하지만, 겨울에 뿌리면 안 되는 것이 있으며 반드시 뿌려야 하는 것이 있습니다. 오늘은 휴면기에 접어드는 겨울 텃밭에 뿌리면 안 되는 것과 뿌려야 하는 것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023년 겨울 텃밭 석회고토 뿌려 주기 글 다운로드] ■ 겨울 텃밭 퇴비와 비료 미리 뿌려주기? 일반적으로 작물을 심기 전 밭 만드는 과정에서 가스 장애를 없애기 위해 작물 심기 2~3주 전에 밑거름과 퇴비를 넣습니다. 하지만 지역적 환경이나 시기에 따라 가스가 제대.. 2023. 11. 14.
2023년 김장 배추 무 최고의 수확적기 판단 방법 김장 작물 최고의 수확적기 판단 방법 많은 분들이 김장작물인 배추와 무는 최대한 시기를 늦추어 수확하게 되면 품질과 맛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고 계십니다. 하지만 너무 늦게 수확하게 되면 동해 피해를 입게 되거나 기온이 떨어져 첫서리가 오면 수확을 해야 한다는 인식으로 빠른 시기에 작물이 덜 잘란 상태에서 수확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오늘은 지역별로 김장작물인 배추와 무 수확에 대한 최고의 수확적기 판단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023년 김장 배추 무 최고의 수확적기 판단 방법 글 다운로드] ■ 지역별 정확한 수확적기 판단 방법 배추와 무는 추위에 강한 작물에 속합니다. 무의 생육한계온도는 영하 3℃ ~ 영하 1℃ 로 추위에 강한 작물에 해당되지만 이보다 더 추위에 강한 배추는 영하 8℃ 까지도 버틸.. 2023. 11. 10.
2023년 김장 배추 무 소금물 주는 방법(제대로 알고 주세요!) 김장 배추 무 소금물 주는 방법 영상으로 보기 지금 시기에 많은 텃밭에서 김장 작물인 배추와 무가 무럭무럭 자라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을 겁니다. 많은 텃밭에서 수확하는 작물이 더욱 단단하고 맛을 좋게 하기 위해서 소금이나 소금물을 주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소금물을 잘못된 방법으로 주게 된다면 작물 생육에 문제가 됩니다. 오늘은 김장 작물 올바른 소금물 주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023년 김장 배추 무 소금물 주는 방법 PDF 글 다운로드] ■ 소금물 주는 이유 및 주의사항 김장 배추나 무의 경우 속이차고 단단한 것이 품질이 좋으며 맛이 우수합니다. 이를 위해 수확하기 전 소금물을 작물에 뿌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소금에는 다량의 미네랄과 미량요소가 함유되어 있습니다. 여기서 미량요.. 2023. 11. 7.
2023년 마늘 싹 나오는 시기에 반드시 해야 되는 일 마늘 싹 나오는 시기에 해야 되는 일 영상으로 보기 마늘 대표 품종에는 난지형 마늘과 한지형 마늘이 있습니다. 이번 영상은 마늘 싹이 올라오고 월동을 가지는 난지형 마늘에 대해 해당되는 영상입니다. 오늘은 난지형 마늘 싹 나오는 시기에 반드시 해야 되는 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023년 마늘 싹 나오는 시기에 반드시 해야 되는 일" PDF 다운로드] 마늘 품종 난지형 마늘 한지형 마늘 재배지역 제주도 및 남부해안 (대표: 남도, 남해, 고흥) 중북부지방 및 내륙지방 (대표: 서산, 의성, 단양, 삼척) 특징 뿌리내림과 싹이 트는 생장 기간이 짧아 생장이 진행되어 많이 자란 상태에서 월동을 함 파종 후 뿌리는 내리지만 싹이 트지 못한 상태에서 월동기간을 거쳐 해동기 부터 싹이 올라옴 한지형 마늘의 .. 2023. 11.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