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텃밭일기220 2023년 마늘 싹 나오는 시기에 반드시 해야 되는 일 마늘 싹 나오는 시기에 해야 되는 일 영상으로 보기 마늘 대표 품종에는 난지형 마늘과 한지형 마늘이 있습니다. 이번 영상은 마늘 싹이 올라오고 월동을 가지는 난지형 마늘에 대해 해당되는 영상입니다. 오늘은 난지형 마늘 싹 나오는 시기에 반드시 해야 되는 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023년 마늘 싹 나오는 시기에 반드시 해야 되는 일" PDF 다운로드] 마늘 품종 난지형 마늘 한지형 마늘 재배지역 제주도 및 남부해안 (대표: 남도, 남해, 고흥) 중북부지방 및 내륙지방 (대표: 서산, 의성, 단양, 삼척) 특징 뿌리내림과 싹이 트는 생장 기간이 짧아 생장이 진행되어 많이 자란 상태에서 월동을 함 파종 후 뿌리는 내리지만 싹이 트지 못한 상태에서 월동기간을 거쳐 해동기 부터 싹이 올라옴 한지형 마늘의 .. 2023. 11. 3. 2023년 배추 무름병 예방 및 대책 방법 알아보기 배추 무름병 예방 및 대책방법 영상으로 보기 배추는 병충해가 많은 작물에 속하기 때문에 많은 노동력과 관리가 필요한 작물 중 하나입니다. 대부분 충해 피해는 전용약제로 예방과 대책이 가능하지만 병해는 한번 발생하면 방제하기가 힘들어 철저한 예방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오늘은 배추 병해 피해 중 가장 확산 속도가 빠르고 대표적인 배추 무름병의 원인과 예방 및 대책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배추 무름병 예방 및 대책 방법 PDF 다운로드하기] ■ 배추 무름병 증상 배추 무름병은 배추의 잎과 줄기, 뿌리에 병반이나 생리 장해가 발생하여 그 부위에 수분이 스며들게 되어 반점 모양이 생겨 확대되면서 포기 전체가 썩는 증상을 말합니다. 정상적인 배추는 잎들이 단단하게 서있지만 병에 걸린 배추는 잎이 축 쳐지기 .. 2023. 11. 1. 2023년 생강 수확시기 및 저장방법 알아보기 2023년 생강 수확시기 및 수확방법 영상으로 보기 생강은 다른 작물에 비해 재배기간이 길어 심기가 부담스러운 작물이지만 한번 심고 수확을 해보신 분들은 생강 재배의 매력을 알 수 있을 겁니다. 늦가을이 되면 봄에 심었던 생강의 잎과 대가 누렇게 변해가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많은 분들이 주말농장을 운영하시기 때문에 갑자기 영하의 기온으로 떨어지면 수확이 힘들 수 있으니 안정적인 수확시점을 정해서 수확을 해주어야 합니다. 오늘은 생강 수확시기와 수확한 생강을 장기간 보관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생강 수확시기 저장법 알아보기 PDF 다운로드] ■ 생강 수확시기 종강 심는 시기 생강 수확 시기 4월 초순 ~ 5월 초순 10월 초순 ~ 11월 하순 4월과 5월 초순 사이 심었던.. 2023. 10. 29. 2023년 김장 갓 수확시기 및 수확방법, 저장방법 알아보기 2023년 김장 갓 수확시기 및 수확방법, 저장방법 영상으로 보기 대표적인 김장 재료로 배추와 무를 들 수 있지만 갓도 빠질 수 없는 김장 재료 중 하나입니다. 갓도 김장 배추나 무와 동일한 수확 시기를 맞추기 위해 9월에 심었을 것입니다. 또한 갓 종류에는 청갓, 홍갓, 돌산갓이 있으며 독립적으로 갓김치를 담가 먹기 위해서는 톡 쏘는 독특한 향을 가진 돌산갓을 심었을 것입니다. 오늘은 김장 갓 수확시기 및 수확방법, 저장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2023년 김장 갓 수확시기 수확방법 저장방법 글 다운로드] ■ 김장 갓 수확시기 김장 갓 재배 지역 파종 시기 수확 시기 중부 지역 8월 하순 ~ 9월 초순 10월 중순 ~ 11월 중순 남부 지역 9월 초순 ~ 9월 중순 10월 하순 ~ 12월 초.. 2023. 10. 25. 이전 1 ··· 27 28 29 30 31 32 33 ··· 5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