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404

2025년 12월 심는 작물 7가지 알아보기 12월의 추위가 오면 대부분 텃밭은 휴면기간을 가지게 됩니다. 하지만, 12월 중순까지 심어서 도전해 볼 수 있는 추위에 강한 작물들이 있습니다. 오늘은 12월에 도전해 볼 수 있는 작물 7가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2025년 12월에 심는 작물 7가지 알아보기 PDF 다운로드하기] 겨울 텃밭 만들기12월에는 기온이 낮기 때문에 씨앗을 뿌려도 발아가 느리고 재배기간이 긴 단점이 있지만 병충해가 거의 없으며 맛도 다른 계절에 비해 좋기 때문에 큰 재미를 볼 수 있습니다. 재배관리가 거의 없기 때문에 씨앗을 심고 보온작업을 한 뒤 방치 해두면 추위를 이겨내고 자라는 작물을 볼 수 있을 겁니다. 겨울에는 텃밭 전체를 이용하는 것보다는 햇빛이 잘 들고 얼지 않은 땅을 골라 소규모만 심어주면 됩니다... 2025. 11. 16.
2025년 겨울 텃밭 토양 만들어 주기(석회고토 뿌려주기) 따뜻한 남부지방의 경우 12월에도 텃밭에 월동 작물을 심는 경우가 있습니다.하지만, 전국적으로 대부분 텃밭에서는 김장 작물을 수확하고 휴면기를 가지게 됩니다. 이 시기에 텃밭에서는 퇴비와 비료를 미리 뿌려 주어 바쁜 봄 농사를 미리 대비하는 경우가 있습니다.하지만, 겨울에 뿌리면 안 되는 것이 있으며 반드시 뿌려야 하는 것이 있습니다. 오늘은 휴면기에 접어드는 겨울 텃밭에 뿌리면 안 되는 것과 뿌려야 하는 것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025년 겨울 텃밭 토양 만들어 주기(석회고토 뿌려주기) PDF 글 다운로드] ■ 겨울 텃밭에 퇴비와 비료 미리 뿌려주면 효과가 있을까?작물을 심기 전 밭 만드는 과정에서 가스 장애를 없애기 위해 작물 심기 2~3주 전에 밑거름과 퇴비를 넣습니다. 하지만, 지역적 환경.. 2025. 11. 8.
2025년 김장 배추 무 최고 수확 적기 판단 방법 알아보기 김장 배추와 무는 최대한 재배기간을 확보해서 수확을 해야지 맛과 품질이 우수합니다. 하지만, 너무 늦게 수확을 하게 되면 동해 피해를 입을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반대로, 기온이 떨어져 첫서리가 오면 바로 수확을 해야 한다는 인식으로 빠른 시기에 작물이 덜 잘란 상태에서 수확하는 경우도 있으니 이 부분도 주의해야 합니다. 오늘은 지역별로 김장작물인 배추와 무 수확에 대한 최고의 수확적기 판단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025년 김장 배추 무 최고 수확적기 판단 방법 알아보기 PDF 글 다운로드] ■ 지역별 정확한 수확적기 판단 방법배추와 무는 추위에 강한 작물에 속합니다. 무의 생육한계온도는 영하 3℃ ~ 영하 1℃ 로 추위에 강한 작물에 해당되지만 이보다 더 추위에 강한 배추는 영하 .. 2025. 11. 1.
2025년 김장 배추 무 소금물 주는 방법 가을 텃밭에는 김장 시기를 맞추어 배추와 무가 무럭무럭 자라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많은 텃밭에서는 김장 배추와 무를 더욱 단단하고 맛을 좋게 하기 위해서 소금이나 소금물을 주는 경우가 있습니다. 하지만, 소금물을 잘못된 방법으로 주게 된다면 생육에 문제가 되니 소금물 주는 방법에 대해 반드시 숙지해야 합니다. 오늘은 김장 작물 올바른 소금물 주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025년 김장 배추 무 소금물 주는 방법 알아보기 PDF 글 다운로드] ■ 소금물 주는 이유 및 주의사항김장 배추나 무의 경우 속이차고 단단한 것이 품질과 맛이 좋습니다. 이를 위해 많은 텃밭에서는 수확하기 전 소금물을 작물에 뿌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소금에는 다량의 미네랄과 미량요소가 함유되어 있습니다.여기서.. 2025. 10. 25.
2025년 마늘 싹 나올 때 반드시 해야 되는 일 3가지 알아보기 마늘 대표 품종에는 난지형 마늘과 한지형 마늘이 있습니다. 이번 영상은 제주도와 남부지역에 심는 마늘 싹이 올라오고 월동을 가지는 난지형 마늘에 해당되는 영상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오늘은 난지형 마늘 싹 나올 때 반드시 해야 되는 일 3가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025년 마늘 싹 나올 때 반드시 해야 되는 일 3가지 PDF 다운로드] 마늘 품종난지형 마늘한지형 마늘재배지역제주도 및 남부해안(대표: 남도, 남해, 고흥)중북부지방 및 내륙지방(대표: 서산, 의성, 단양, 삼척)특징뿌리내림과 싹이 트는 생장 기간이 짧아 생장이 진행되어 많이 자란 상태에서 월동을 함파종 후 뿌리는 내리지만 싹이 트지 못한 상태에서 월동기간을 거쳐 해동기 부터 싹이 올라옴 한지형 마늘의 경우 일찍 심어 잎이 돋아난 상.. 2025. 10. 18.
2025년 11월에 심는 작물 10가지 알아보기 11월은 기온이 갑자기 떨어지기 때문에 중부지역에서는 텃밭이 놀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보양대책만 잘 세운다면 중부지역에서도 충분히 심을 작물이 많이 있습니다. 오늘은 2025년 11월에 심는 작물 10가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2025년 11월에 심는 작물 10가지 알아보기 PDF 다운로드하기] 2025년 11월에 심는 작물 10가지1. 시금치시금치 재배 작형파종 시기수확 시기가을 재배9월 중순 ~ 10월 하순11월 초순 ~ 12월 중순월동 재배11월 ~이듬해 4월 ~ 시금치는 재배과정도 간단하고 생육기간이 짧으며 월동도 가능하여 연중 수확이 가능한 작물입니다. 가을 시금치는 재배기간이 약 60일 정도로 9월 ~ 10월에 심어 그해 수확을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11월 이.. 2025. 10.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