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대부분 텃밭에는 배추와 무가 가득하여 김장 시기를 알려주고 있습니다.
무를 처음 심는 분들은 기온이 떨어지는 첫서리가 오면 수확을 해야 된다는 인식으로 너무 이른 시기에 수확을 하게 되어 덜 잘란 상태의 무를 수확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오늘은 김장 무 수확시기에 대해 지역별 정확한 수확적기 판단방법과 수확방법, 저장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2025년 김장 무 수확시기 및 수확방법, 저장방법 PDF 글 다운로드]
■ 2025년 김장 무 수확시기
재배 지역 | 파종 시기 | 수확 시기 |
중부 지역 | 8월 중순 ~ 8월 하순 | 10월 하순 ~ 11월 하순 |
남부 지역 | 8월 하순 ~ 9월 초순 | 11월 초순 ~ 12월 초순 |
무의 경우 뿌리채소이기 때문에 배추와 달리 모종을 심는 것보다 씨앗을 파종을 하였을 것입니다.
김장 무는 파종 후 60~80일의 재배 기간으로 김장 배추 재배기간(70~90일)에 비해 10일이 짧기 때문에 같은 수확 시기를 맞추기 위해 김장 배추보다 조금 늦게 심었을 겁니다.
중부지방은 10월 하순부터 된서리가 오기 때문에 무 생육기간을 고려하여 일반적으로 처서(25년 8월 23일) 전후로 파종을 하였을 겁니다.
김장 무는 수확 시기가 되면 뿌리 부분의 1/3이 노출되기 때문에 육안으로도 수확 시기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육안으로 판단하기 힘든 김장 배추와 같이 수확시기를 잡아주면 좋습니다.
김장 무는 서리가 2~3번 내린 후 수확하면 가장 맛이 좋으며 영양도 풍부합니다.
또한, 무 뿌리가 노출된 부분이 진한 연두색일 때가 가장 맛이 좋으며 무 수확적기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무 뿌리가 1/3 노출되어 있어 해당 지역 기온이 영하로 갑자기 내려가게 되거나 영하권에 오랫동안 있을 경우 바람이 들거나 얼기 때문에 항상 일기예보를 보며 미리 온도 파악을 해주어야 합니다.
■ 지역별 정확한 수확적기 판단 방법
무는 추위에 강한 작물에 속합니다.
무의 생육한계온도는 영하 3℃ ~ 영하 1℃ 이기 때문에 지역별 정확한 수확적기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지역별 전년 날씨를 보고 예측을 하며 수확 계획을 잡을 수 있습니다.
1. 기상철 사이트 들어가기
2. 좌측 메뉴 → 관측 → 육상 → 과거관측 순으로 들어가기
3. 지점(지역 설정), 년도(작년: 2022년), 월(11월, 12월) 설정하기
중부지역(경기/수도권)의 경우 작년 11월 27일 기준으로 영하 1℃ 아하의 온도가 시작되고 11월 28일부터 12월 동안 지속적인 영하권이 시작되기 때문에 11월 26일까지 수확을 한다고 생각하고 수확 계획을 잡으면 됩니다.
남부지역의 경우 작년 12월 18일부터 영하권이 지속되기 때문에 12월 17일까지 수확을 한다고 생각하고 수확 계획을 잡으면 됩니다.
■ 김장 무 수확방법 및 주의사항
1. 수확 사전 준비
김장 무 수확 20일 전에는 무 밭에 물을 주면 안 됩니다.
수확 시기에 무 밭에 수분이 많게 되며 무 표면이 갈라지고 수확 후 저장성이 떨어집니다.
그리고 이 시기에 무 아랫잎을 따주면 무 뿌리가 더욱 잘 자라기 때문에 따주면 됩니다.
이때 제거한 무 시래기는 맛이 우수하기 때문에 버리지 말고 국거리용이나 반찬용으로 먹으면 됩니다.
2. 무 뽑기
무를 뽑는 방법은 매우 간단하며 무를 잡고 힘을 주어 뽑아주면 됩니다.
무를 뽑을 때 무 표면이 손상되면 안 되기 때문에 깨끗한 장갑을 끼고 뽑아 주어야 합니다.
뽑은 무의 잎을 자를 때는 너무 바짝 자르면 미생물 오염의 원인이 되어 부패가 빨리 일어나기 때문에 약간 위쪽으로 잘라 주어야 합니다.
칼로 자를 때 칼날에 흙이 묻는 상태에서 자르면 미생물 오염이 되기 때문에 수확 중간중간 칼날을 소독하며 수확해 줍니다.
소독은 물 1L에 소금 7g 정도 희석한 소금물에 소독해 주면 됩니다.
마지막으로 수확 후 서늘한 곳에 옮겨 보관합니다.
3. 무 운반하기
무를 수확할 때는 되도록 2인 1조로 작업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한 명이 무를 수확하고 나머지 한 사람이 자루나 비닐에 바로 무를 옮겨 운반하는 방법을 추천합니다.
이 방법은 무에 상처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추후 세척 과정에서 많은 노동력을 줄일 수 있습니다.
■ 김장 무 저장방법
무 저장 최적 조건 | 온 도 | 상대습도 |
0~3 ℃ | 95~98 % |
김장 무를 장기간 저장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환경 조건을 만들어 주어야 합니다.
김장 무 저장 최적 조건은 온도 0~3℃가 적절하며 상대습도는 96~98% 유지해주어야 합니다.
김장 무는 영하 1.5℃가 동결 온도 이기 때문에 영하 1.5℃이하로 떨어지지 않게 해주어야 합니다.
무를 1달 정도 뒤에 사용할 계획이라면 단기 보관방법을 이용하시면 신선하고 맛있는 무를 먹을 수 있습니다.
무를 신문지에 하나씩 포장하여 박스에 포장하여 기온이 영하로 떨어지지 않는 서늘한 곳과 비를 피할 수 있는 곳에 보관하였다가 필요할 때마다 꺼내서 사용하면 됩니다.
더욱 긴 시간 보관을 원한다면 포장한 박스를 비닐로 밀봉하여 보관하면 내년 2~3월까지 신선한 무를 보관할 수 있습니다.
'텃밭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김장 배추 수확 시기 및 수확 방법, 저장 방법 알아보기 (0) | 2025.09.20 |
---|---|
2025년 10월에 심는 작물 11가지 알아보기 (0) | 2025.09.14 |
2025년 메주콩 수확 시기 및 수확 방법, 저장 방법 알아보기 (0) | 2025.09.10 |
2025년 서리태 수확 시기 및 수확 방법 알아보기 (0) | 2025.09.06 |
2025년 봄동 심는 시기 및 재배 방법 알아보기 (0) | 2025.09.03 |
댓글